반응형
SMALL
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정기적으로 자동차 검사를 받아야 해요 이번 글에서는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진행하는 자동차 검사의 예약 방법부터 진행 과정까지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:)
1. 자동차 검사란?
자동차 검사는 차량이 안전 기준과 환경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절차로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으며, 검사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가능 여부가 결정됨. 정기 검사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, 검사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
2. 자동차 검사 주기
자동차 검사의 주기는 차량 종류와 연식에 따라 다름.
- 승용차: 최초 등록 후 4년이 지나면 첫 검사, 이후 2년마다 정기 검사
- 승합차 및 화물차: 최초 등록 후 1~2년 후 첫 검사, 이후 주기에 따라 다름
검사 시기가 다가오면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안내문이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주니, 이를 확인하고 미리 예약하는 게 좋음.
3. 자동차 검사 예약 방법
자동차 검사는 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나 모바일을 통해 예약할 수 있습니다.
- 모바일 예약 방법
- 안내 문자 확인 후 모바일 링크 접속
검사 안내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눌러 예약 페이지로 이동함. - 자동차 검사 예약 진행
- '자동차 검사 예약' 메뉴에서 ‘예약하기’ 클릭
- 검사 종류 선택 (정기 검사, 종합 검사 등)
- 차량 등록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
- 검사소 및 시간 선택
원하는 검사소를 선택한 후 예약 가능한 시간을 지정함. - 예약 완료 및 확인
예약이 완료되면 확인 메시지가 발송됨. 검사일 며칠 전에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예약 안내가 다시 오니 일정을 한 번 더 확인하면 좋음.
검사소 방문 및 검사 진행
- 검사소 도착 후 예약 줄에서 대기
- 차량 이동하며 검사 진행 (운전자는 대기실에서 기다릴 수 있음)
- 평균 검사 소요 시간은 10~15분 정도이며, 진행 상황은 TV 화면에서 확인 가능
- 검사 완료 후 직원이 차량 상태와 결과 설명
- 검사 통과 시 차량 운행 가능, 미통과 시 추가 정비 필요
🌈 자동차 검사 팁🌈
- 예약하고 방문하면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음.
- 검사일을 놓치지 않도록 미리 일정 확인이 중요함.
- 검사 전 차량 기본 상태(전조등, 타이어, 배출가스 등)를 점검하면 빠르게 통과할 수 있음.
- 사람이 적은 시간대를 선택하면 보다 빠르게 검사를 받을 수 있음.
6. 자동차 검사를 안 받으면?
검사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음.
- 30일 이내: 2만 원
- 30일 초과 시: 매 3일마다 1만 원 추가 (최대 30만 원)
따라서 미루지 말고 정해진 기간 내에 검사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해요

반응형
LIST
'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팅어 시승기]KIA 자동차 부산 드라이빙센터 방문기 / 시승 예약하는 방법 (0) | 2022.07.28 |
---|
댓글